공모주, 한걸음에 끝내기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공모주, 한걸음에 끝내기

메뉴 리스트

  • 홈
  • 소개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N
    • 공모주 N
    • 주식 시장
    • 공모주 일정
    • 공모주 증권발행실적
    • 공모주 상장
    • 공모주 분위기

검색 레이어

공모주, 한걸음에 끝내기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밸류업

  • 공모 제도 개편 : 공모가 산정 절차 개선 및 주관사 역할 강화

    2025.08.22 by 삼루타 친 산신령

  • 공모 제도 개편 : 수요예측 및 기관 참여자격

    2025.08.20 by 삼루타 친 산신령

  • 밸류업 정책 발표 (IPO, 상장폐지)

    2025.01.27 by 삼루타 친 산신령

공모 제도 개편 : 공모가 산정 절차 개선 및 주관사 역할 강화

공모 제도 개편의 세 번째는 수요예측 및 기관 참여 자격 합리화입니다. 기존 IPO 시장에서는 기관투자자들이 수요예측에서 공모가 희망범위 상단 이상의 가격을 제시해 일단 물량을 확보한 뒤, 상장 당일 대거 매도하는 패턴이 반복되었습니다. 모든 기관이 그렇게 하지는 않겠지만, 실제 매도 내역을 보면, 기관도 사람이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그나마 지난번 제도 개편 후 뻥튀기가 덜해지면서 공모가 희망범위 상단에서 확정되는 비율이 체감 상 많이 감소했음에도, 상장 후 공모가를 크게 밑도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체감 상 감소했다는 부분도 사실 공모가 산정 과정에서, 3~4년 후의 미래 예상 이익을 무리하게 당겨오거나, 비교 기업을 너무 과도하게 설정해서 공모가 상단 자체를 높여서 그런 것인지, 뻥튀..

공모주 분위기 2025. 8. 22. 06:38

공모 제도 개편 : 수요예측 및 기관 참여자격

에스투더블유의 증권신고서 재제출 관련, 개편된 공모 제도에서 가장 눈에 띄는 기관의 의무보유 확약 관련 내용을 지난 글에서 간단히 정리했는데, 달라지는 다른 부분들도 하나씩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두 번째 개선 사항은 수요예측 및 기관 참여 자격 합리화입니다.기존 IPO 수요예측에서는 역량이 확인되지 않은 소규모 사모운용사와 투자일임사들이 무분별하게 참여하며, 실제 보유한 자산가치보다 훨씬 많은 수량을 신청하는 '허수성 청약' 문제가 있었습니다. 어차피 경쟁률이 높으니 최대한 효율적으로 배분을 받기 위한, 어찌보면 합리적인 접근입니다. 제도 개선이 필요했던 부분이 맞는 것 같습니다. 심지어 재간접펀드나 페이퍼컴퍼니를 통한 우회 참여도 있었다고 하고, 기관 수요예측 첫날에 수요가 몰리면서 공모가가 뻥튀기..

공모주 분위기 2025. 8. 20. 06:35

밸류업 정책 발표 (IPO, 상장폐지)

사실 공모주 투자는 가치판단에 따른 장기 투자라기 보다는, 신규상장 시 개장하는 천하제일 단타대회의 유동성을 기반으로 하는 투자입니다. 적어도 지금은 그렇습니다. 단기 자금이 집중되며 대부분 상장일에는 큰 변동성을 보여주는데, 결국 이러한 유동성이 본질이 되겠습니다. 그래서 상장 기업의 사업 내용은 참고만 하고, 실제로는 시총이나 가격, 구주 유통물량, 수요조사(기관경쟁률), 보호예수일정 등 수급 관련 내용이 공모주 투자의 핵심인 것이 사실입니다. 단기 자금의 유동성이 원동력이기에, 신규상장주 대부분은 관심이 식으면서 공모가격 한참 아래까지 하락하는게 보편적 진실(?)입니다. 선별되어 상장하는 기업의 대부분이 공모가를 하회하는 결말이 나온다는 것은, 상식적인 관점에서 보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이와 ..

주식 시장 2025. 1. 27. 17:48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공모주, 한걸음에 끝내기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